Travel Tips
여행지식
몽골여행 시 사건사고 유형별 안전 유의사항
작성자
몽골여행학교
작성일
2024-07-03 14:59
조회
191
사건사고 유형별 안전 유의사항
○ 최근 몽골을 방문하는 우리 국민 여행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요 유형을 공지해 드리니 안전한 여행 하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교통사고」
○ 몽골은 도로의 폭이 좁고 도로 곳곳이 파손되어 있으며, 장거리 이동 시 빠른 도착을 위해 과속하는 경우가 많아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정비 불량인 노후 차량으로 장거리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 출발 전 꼭 차량 정비가 되었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지방 이동 간 차량 안전벨트를 필히 착용하고 좌석에 짐을 두지 않는 등 여행객 개개인이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 교통사고, 낙마사고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보험 가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낙마 사고」
○ 최근 관광객 급증으로 테를지 등 관광지에서 성향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주변 말들을 모아 승마에 투입하는 경우가 있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고령자일 경우 낙마사고 발생 시 뇌출혈, 경추 및 요추 골절 등 중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등자에서 발을 빼지 못할 경우 끌려가면서 중상을 입거나 생명을 잃을 수도 수 있으니 각별히 안전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고에 대비하여 여행자 보험에 가입하거나 여행사 자체보험 가입여부 등을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낙마사고 등으로 인한 큰 부상 발생 시, 비용 지불 등 문제로 치료와 출국에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 말, 낙타는 자동차와 달리 사람의 의지대로 컨트롤하기가 어려우며, 갑자기 달리거나, 머리를 숙이고, 앞다리를 드는 등 돌발행동을 대비해야 합니다.
- 말 위에서 외투를 벗거나 등산복 스치는 소리, 전화벨 및 진동에도 말이 놀라 사고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전장비가 구비된 업체에서 승마체험을 하시고, 승마전 반드시 안전 체크를 실시하고 안전장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 등자에서 발을 빼지 못하면 끌려가게 되어 큰 부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항상 등자에 깊숙이 발을 넣지 말고 발끝만 걸치는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소매치기 및 절도」
○ 사람들이 붐비는 장소에서는 가방은 가급적 몸 뒤쪽으로 매지 말고 몸 앞쪽으로 매고 소지품이 제대로 있는지를 수시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울란바타르에서는 주로 국영백화점 인근, 서울의 거리, 나랑톨 시장, 남양주 거리, 고비 캐시미어 상점 등에서의 소매치기 피해가 가장 흔하며, 면도칼을 이용하여 가방을 찢고 내용물을 훔치는 수법도 발생하고 있으니 소지품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여행지에서는 트레킹, 승마 등 기타 일정으로 여행객이 잠시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자물쇠를 파손하고 게르에 침입하여 물건을 훔치는 수법과 열려있는 게르에 사람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태연히 물건을 가지고 나오는 수법이 많습니다.
○ 게르의 자물쇠는 절단기만 있어도 쉽게 침입이 가능할 정도로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CCTV가 설치된 안전한 숙소를 이용하는 등 절도 예방에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 적당한 정도의 여행경비, 여권(사본) 등을 분산 소지하고, 도난 사고 발생 시에는 경찰서에 즉각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여권 도난시에는 대사관을 방문하여 긴급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주몽골대한민국대사관 : +976-7007-1030, +976-7007-1032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폭행 및 상해」
○ 야간시간대에 주로 발생하며, 술에 취한 현지인과 시비가 붙는 경우가 많으니 가급적 취객들은 멀리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혼자 또는 소수의 인원으로 주점, 클럽 등에 방문할 경우 빈번하게 시비가 발생하므로 몽골인 가이드 또는 현지인 지인과 함께 동석하는 것이 문제 발생 시 경찰 신고(102) 등 대응에 용이합니다.
○ 택시요금을 과다 청구하고 거절 시 협박하거나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심야 시간에는 일반차량보다 콜택시 등 이용을 권장하며 사전에 적정요금을 미리 검색하여 협의 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조난 및 실종」
○ 복드산은 울란바타르 인근임에도 자주 등산하는 몽골인도 길을 잃을 정도로 길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일행과 헤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등산 시작 전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앱 ‘what3words’ 를 설치하여 길을 잃을 경우 실행하면 몽골어로 세 단어가 나오는데 이것을 알려주면 구조대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몽골은 지방 여행 시 통화연결이 되지 않는 통화권 이탈 지역이 많습니다.
○ 범죄피해, 사건‧사고의 징조가 없는 단순 연락두절일 경우 문자를 남기거나 SNS를 통해 최근 행적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유사사례 접수 빈번)
○ 여행자 또한 가족 또는 지인에게 본인의 여행일정과 여행사, 긴급연락처 등을 사전에 알려놓아 연락두절 시 빠르게 소재확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성범죄」
○ 주로 몽골인 가이드(남성)에게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여행기간 동안 현지인 가이드와 과도한 친분을 쌓거나 먼저 술자리를 제안하게 될 경우, 상대는 본인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고 오해를 하게 됩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도수가 높은 술(보드카)을 마셔 정신을 잃을 경우 무방비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현지 긴급 연락처」
○ 몽골에 계신 우리 국민 여러분께서는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 주시고, 각종 사건사고 및 범죄 피해 발생 시 즉시 경찰에 신고하여 주시고 우리 대사관에도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경찰 신고 전화 : 102
※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긴급연락처 : 일과시간 (대표번호) : +976-7007-1020 & 일과후/공휴일/주말 : +976-9911-4119
※ 영사콜센터 : +82-2-3210-0404
[출처 : 주몽골 한국 대사관]
○ 최근 몽골을 방문하는 우리 국민 여행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요 유형을 공지해 드리니 안전한 여행 하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교통사고」
○ 몽골은 도로의 폭이 좁고 도로 곳곳이 파손되어 있으며, 장거리 이동 시 빠른 도착을 위해 과속하는 경우가 많아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정비 불량인 노후 차량으로 장거리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 출발 전 꼭 차량 정비가 되었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지방 이동 간 차량 안전벨트를 필히 착용하고 좌석에 짐을 두지 않는 등 여행객 개개인이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 교통사고, 낙마사고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보험 가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낙마 사고」
○ 최근 관광객 급증으로 테를지 등 관광지에서 성향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주변 말들을 모아 승마에 투입하는 경우가 있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고령자일 경우 낙마사고 발생 시 뇌출혈, 경추 및 요추 골절 등 중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등자에서 발을 빼지 못할 경우 끌려가면서 중상을 입거나 생명을 잃을 수도 수 있으니 각별히 안전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고에 대비하여 여행자 보험에 가입하거나 여행사 자체보험 가입여부 등을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낙마사고 등으로 인한 큰 부상 발생 시, 비용 지불 등 문제로 치료와 출국에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 말, 낙타는 자동차와 달리 사람의 의지대로 컨트롤하기가 어려우며, 갑자기 달리거나, 머리를 숙이고, 앞다리를 드는 등 돌발행동을 대비해야 합니다.
- 말 위에서 외투를 벗거나 등산복 스치는 소리, 전화벨 및 진동에도 말이 놀라 사고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전장비가 구비된 업체에서 승마체험을 하시고, 승마전 반드시 안전 체크를 실시하고 안전장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 등자에서 발을 빼지 못하면 끌려가게 되어 큰 부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항상 등자에 깊숙이 발을 넣지 말고 발끝만 걸치는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소매치기 및 절도」
○ 사람들이 붐비는 장소에서는 가방은 가급적 몸 뒤쪽으로 매지 말고 몸 앞쪽으로 매고 소지품이 제대로 있는지를 수시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울란바타르에서는 주로 국영백화점 인근, 서울의 거리, 나랑톨 시장, 남양주 거리, 고비 캐시미어 상점 등에서의 소매치기 피해가 가장 흔하며, 면도칼을 이용하여 가방을 찢고 내용물을 훔치는 수법도 발생하고 있으니 소지품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여행지에서는 트레킹, 승마 등 기타 일정으로 여행객이 잠시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자물쇠를 파손하고 게르에 침입하여 물건을 훔치는 수법과 열려있는 게르에 사람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태연히 물건을 가지고 나오는 수법이 많습니다.
○ 게르의 자물쇠는 절단기만 있어도 쉽게 침입이 가능할 정도로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CCTV가 설치된 안전한 숙소를 이용하는 등 절도 예방에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 적당한 정도의 여행경비, 여권(사본) 등을 분산 소지하고, 도난 사고 발생 시에는 경찰서에 즉각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여권 도난시에는 대사관을 방문하여 긴급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주몽골대한민국대사관 : +976-7007-1030, +976-7007-1032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폭행 및 상해」
○ 야간시간대에 주로 발생하며, 술에 취한 현지인과 시비가 붙는 경우가 많으니 가급적 취객들은 멀리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혼자 또는 소수의 인원으로 주점, 클럽 등에 방문할 경우 빈번하게 시비가 발생하므로 몽골인 가이드 또는 현지인 지인과 함께 동석하는 것이 문제 발생 시 경찰 신고(102) 등 대응에 용이합니다.
○ 택시요금을 과다 청구하고 거절 시 협박하거나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심야 시간에는 일반차량보다 콜택시 등 이용을 권장하며 사전에 적정요금을 미리 검색하여 협의 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조난 및 실종」
○ 복드산은 울란바타르 인근임에도 자주 등산하는 몽골인도 길을 잃을 정도로 길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일행과 헤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등산 시작 전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앱 ‘what3words’ 를 설치하여 길을 잃을 경우 실행하면 몽골어로 세 단어가 나오는데 이것을 알려주면 구조대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몽골은 지방 여행 시 통화연결이 되지 않는 통화권 이탈 지역이 많습니다.
○ 범죄피해, 사건‧사고의 징조가 없는 단순 연락두절일 경우 문자를 남기거나 SNS를 통해 최근 행적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유사사례 접수 빈번)
○ 여행자 또한 가족 또는 지인에게 본인의 여행일정과 여행사, 긴급연락처 등을 사전에 알려놓아 연락두절 시 빠르게 소재확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성범죄」
○ 주로 몽골인 가이드(남성)에게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여행기간 동안 현지인 가이드와 과도한 친분을 쌓거나 먼저 술자리를 제안하게 될 경우, 상대는 본인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고 오해를 하게 됩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도수가 높은 술(보드카)을 마셔 정신을 잃을 경우 무방비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현지 긴급 연락처」
○ 몽골에 계신 우리 국민 여러분께서는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 주시고, 각종 사건사고 및 범죄 피해 발생 시 즉시 경찰에 신고하여 주시고 우리 대사관에도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경찰 신고 전화 : 102
※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긴급연락처 : 일과시간 (대표번호) : +976-7007-1020 & 일과후/공휴일/주말 : +976-9911-4119
※ 영사콜센터 : +82-2-3210-0404
[출처 : 주몽골 한국 대사관]